-
대선 투표 방법 (TO VOTE, TO LIFE) 2020ver.인권에 관하여 2020. 4. 11. 23:52
오늘(4월 11일)은 사전투표 마지막 날이었습니다.
본투표는 4월 15일 수요일이기 때문에
그 날 다른 할일이 있다면 미리 사전투표를 하는 게 좋겠죠?
그 전에 투표는 왜 해야할까요?
꼭 해야하는 걸까요?
투표는 사회에 우리가 원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
요즘에야 청원 등 다양한 수단이 생겼지만
그 이전에는 우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습니다.
이 투표권은 수 많은 사람들의 목숨과도 바꾼 소중한 우리의 권리입니다.
2020년 현재,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는 이들도 있습니다.
(홍콩사태 참조)
그렇다면 투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1. 우편을 확인한다.
우편을 확인하면 숫자와 옆에 이름이 적혀 있을거에요.
또 어디에서 투표가 진행되는지, 언제 진행되는지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답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안내사항입니다.*
근로자의 투표시간 보장
근로자는 사전투표기간(4. 10. ~ 11.)과
선거일(4.15.)에 모두 근무할 경우 고용주에게
투표시간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투표권 확대
만18세(2002. 4. 16. 이전 출생자) 부터
투표할 수 있습니다.>>만18세가 투표할 수 있게 된 과정
2. 되는 날 가서 투표를 한다.
준비물 : 신분증
(사진이나 캡쳐본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자신의 시간이 되는 날 그 장소에 가서 투표를 하면 됩니다.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코로나19 관련 예방수칙
마스크 착용하고 투표소에 가면
① 발열 체크받기
② 손 소독하기
③ 비치된 비닐장갑 착용
④ 1m 거리두기
⑤ 본인 확인 받는 곳에서 신분증 제시하여 마스크는 잠깐 내리기
⑥ 투표용지 수령
⑦ 기표소에서 투표
⑧ 투표함에 투입선거인 접촉 물품 수시 소독 관리
소독티슈를 활용하여 주기적으로 소독 및 환기를 실시합니다!
선거인이 발열(37.5℃ 이상) 및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하도록 조치하겠습니다!
집단행사 방역관리 지침(질병관리본부)에 따라
임시기표소는 소독티슈로 소독하고 관할 보건소 등에 연락제21대 국회의원선거
선거일 : 4월 15일 (수) 오전 6시 ~ 오후 6시
사전투표 기간 : 4월 10일 (금) ~ 4월 11일 (토) 오전 6시 ~ 오후 6시저는 개인적으로 코로나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환경을 생각하는 입장에서
비닐장갑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게 정말 아깝더라고요.
이미 오늘 사전투표가 끝나버려서 포스팅을 하기에는 늦었지만..
개인장갑 지참시 대체 가능하다고 하니까
환경을 생각하시는 분이라면 참고해주세요~!
+ 이번 사전투표율이 사상 최대라고 하더라고요.
모두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투표가 없으면 우리가 가질 수 없는 게 무엇일까요?
밑줄쳐진 공간을 함께 채워봐요!
저는 LIFE라고 했답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는 삶을 살 때 진짜 살고 있다고 생각해요.
원하는 걸 얻기위해서 투표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인권에 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지락네트워크, 청소년 의회 서포터즈 (서류 및 면접 팁) (0) 2020.04.17